■ 제조사 동향

1. 이슈 및 판매 정책

국내 주요 냉연도금판재류 업체들이 판매 가격 인상을 10월에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10월 긴 연휴를 앞두고 업체별로 판매 확대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었다. 일단 10월 영업일수 감소로 판매 목표 달성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요업체들 역시 연휴와 그간 높아진 재고 등의 부담으로 되도록 구매를 꺼리는 상황이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9월 판매 마감이 만만치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10월부터 대부분의 업체들이 톤당 5만원의 추가 가격 인상을 발표한 바 있어 판매 개선에 기대를 걸긴 했으나 실상은 달랐다는 지적이다.

일단 고가 재고 부담을 안게 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중국발 철강재 가격 상승 기조가 주춤해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 3월에도 가격 인상 이후 중국발 가격 하락 현상이 나타나면서 높은 원자재 구매 단가를 제품 판매 가격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던 바 있었던 만큼 무리한 구매 부담을 안고 싶지 않았을 것이란 분석이다.

냉연업체들로서는 오는 11월 이후까지도 높은 단가에 구매한 원자재를 사용해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 입장이다보니 어떻게는 가격 인상을 이어가야 하지만 자칫 수입재 가격 하락현상이라도 나타나기 시작한다면 수익성에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 있어 시장 변화를 예의 주시하는 모습이다.

열연 등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으로 냉연도금판재류 업체들은 7월 이후 가격 인상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다른 냉연 단압밀들에 비해 한 템포 트린 인상을 실시하는 모습이다. 현대제철은 9월에 이어 10월에도 유통향 가격을 인상을 실시키로 했으며 포스코는 9월에 이어 10월 주문 투입분부터 3만원의 인상을 실시키로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2~3주에 톤당 2~3만원씩의 가격 인상 방식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2. 수입동향

중국발 열연 오퍼 가격 상승 흐름이 주춤해진 모습이다. 지난 9월 중순까지만 해도 11월 도착분을 기준으로 중국산 열연 오퍼 가격은 톤당 615달러(CFR) 수준까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중 재고 확대와 10월 긴 연휴 등으로 인해 구매 자체가 주춤해지는 모습이 나타났고 중국내에서도 가격 상승 흐름이 다소 꺽이면서 11월 중순 이후 도착분을 기준으로 톤당 580달러 수준까지 오퍼 가격이 낮아진 상황이다.

일단 10월 중국내 공산당 전당대회 이후 인프라 투자 여부와 철강재 감산 정책 등 아직 가격 인상을 부추길만한 요인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이전과 같은 급등 움직임보다는 유지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전했다.

일단 중국발 철강재 급등 흐름이 다소 주춤해진 가운데 일본 냉연소재용 열연 수입가격도 8~9월 업체나 물량 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평균적으로 톤당 500달러 내외 수준에서 수입 가격이 형성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8월의 경우 톤당 480달러(FOB) 수준, 9월에는 520달러 수준에서 협상이 마무리된 것으로 보인다. 냉연업계 관계자들은 일본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10월 가격 협상도 다소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전했다.

국내 냉연업체들은 가격 상승세가 한 풀꺽였다는 입장이지만 일본 고로업체들은 아직 인상이 부족하다는 입장을 견지할 것으로 보여 10월 협상도 만만치 않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했다.

3. 수출동향

글로벌 철강재 가격 상승 흐름이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국내산 수출 오퍼 가격 역시 상승세가 주춤해지는 모습이다. 최근 중국발 철강재 오퍼 가격이 일부 제품을 제외하고 주춤한 모습이 나타나면서 수출 성약 가격 역시 당분간 상승세가 주춤해지지 않겠느냐는 의견이 많다.

계절적으로 연말 비수기를 앞두고 있는 시점인 만큼 11월 이후 수입 오퍼 가격은 역시나 추가적인 상승이 만만치 않아 보인다는 의견이다. 일단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감안한다면 추가적인 인상이 불가피하겠지만 실제 오를 수 있을지는 확신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

11월 이후 도착분 포스코산 냉연강판 수출 오퍼 가격은 지역이나 물량, 제품 등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체로 톤당 600달러대(FOB) 중반 수준을 유지하는 모습이며 향후 비슷한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모습이다.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경우에도 지역이나 제품, 물량이나 업체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톤당 700달러대 초중반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상승보다는 현재 가격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전했다.

스틸데일리 DB
▲ 스틸데일리 DB


■ 유통 동향

9월까지 가격 인상이 일정 수준 이뤄졌지만 10월 이후부터는 좀 더 시장 상황을 살펴봐야 알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이 많다. 냉연도금판재류 제조업체들이 10월 가격 인상을 속속 발표했지만 실제 시장 반영을 낙관하기에는 다소 수요시장 상황이 녹록치 않은 상황이라는 것.

유통시장에서는 중국산 수입재 가격 급등과 물량 확보가 만만치 않다보니 국내산에 대한 주문이 확대됐다고는 하지만 자동차와 가전, 기계와 건설 등 주요 수요산업 회복이 지지부진하고 10월초 긴 연휴 등으로 영업일수가 줄어들면서 구매가 지연되고 가격 인상 적용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철강재 가격의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 여부도 확신하기 어렵다보니 무조건 구매보다는 관망기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제조업체들은 11월 이후까지도 고가에 구매한 원자재로 인해 제품 판매 가격을 인상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실질적인 판매 확대가 어려운 상황에서 무조건 가격을 인상하기가 어렵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그리고 같은 시기 가격이 하락한 수입재를 구매할 수는 없겠지만 심리적으로 조금만 버티면 낮아질텐데라는 시장 분위기가 형성될 경우 시중 거래량 축소와 이에 따른 가격 경쟁이 재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유통이나 가공업체들의 구매 움직임이 주춤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유통업체 관계자들은 자칫 인상 가격의 시장 적용이 만만치 않아 질 수 있는 시기인 만큼 철저한 구매 및 판매 가격 관리를 바탕으로 대응하는 수 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향후 철강재 가격 흐름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며 중국발 가격 움직임과 수입 오퍼 가격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제조업체들의 가격 인상 이후 자칫 판매 가격에 인상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경우 고스란히 손해를 떠안게 될 수도 있는 입장이기 때문에 현재까지 인상 가격에 대한 적극적인 반영을 할 수 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국내 유통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냉연강판(현금, 가공비 미포함, 상차도 기준) 가격은 9월말 현재 업체나 지역, 강종이나 물량 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포스코산이 톤당 78~80만원 수준, 다른 업체들도 이와 비슷한 가격대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중국산 유통시장 거래가격도 이보다는 소폭 낮지만 큼 차이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용융아연도금강판을 비롯한 각종 아연도금강판 제품의 경우 업체나 지역 강종이나 물량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톤당 80만원대 후반 수준이 유지되고 있으며 중국산 수입재 역시 국내산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물량 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한편 10월 연휴 이후 시장 가격에 대해서는 제조업체들의 가격 인상으로 다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수요시장 상황 등을 고려할 경우 인상분 적용이 만만치 않아지게 될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스틸데일리 DB
▲ 스틸데일리 DB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