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CEO 승계 카운슬이 12일 6차 회의 이후 11명으로 회장 후보군을 압축했다고 밝혔다.

당연히 이들 11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마련. 승계카운슬에서 이들 명단을 공개하지는 않았으나 관련 업계에서는 하마평이 오르내리는 인물들로 이뤄져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후보군에 비해 더 중요한 것을 승계 카운슬이 오히려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과정의 투명성과 선정방법 그리고 선정 이유 등은 민간기업이니 만큼 나름 정해 놓은 절차에 따라 그대로 진행하면 그만이다.

그러나 승계 카운슬 스스로 정해 놓은 원칙을 거슬러서는 안되지 않을까?

실제 승계카운슬은 지난 13일 “후보자 추천을 의뢰한 30여개 주주사 중 1개사만이 후보자를 추천함에 따라 검토대상 외부후보자의 풀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써치 펌에 후보자를 추가로 발굴해 줄 것을 요청하여 추가로 추천받아 검토대상 외부 후보군을 11명으로 확대했다”고 밝혔다.

이미 이달 초인 지난 7일 승계카운슬은 “4차 회의를 통해 7개의 서치펌 등 외부에서 추천받은 외국인 1명을 포함한 8명의 후보를 검토했다”고 밝힌 바 있다.

물론 추천된 인물이 마음에 안드니 다른 인재를 추천해 달라고 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한 측면에서는 이미 사람을 정해 놓고 다른 이를 들러리 세우는 것 아니냐는 소리도 나올 수도 있는 사안이라는 점을 간과한 것은 안타깝다.

언론의 보도 행태를 꼬집기 이전에 정해 놓은 원칙을 바꿔가면서 후보 선정작업을 하고 있는 입장에서 스스로 잡음을 자초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고민해 봐야 하지 않을까?

어떤 결정을 하든 반대급부의 목소리는 나오게 되어 있다. 결정을 내렸다면 그에 따른 책임을 지면 그만이다. 실수를 모면하기 위한 조급한 행동과 변명은 분란만 일으키게 되어 있다.

포스코가 민간기업이기는 하지만 국내 철강산업은 물론 관련 전후방 연관 산업에 끼치는 파급력과 영향력을 볼 때 단순히 주인없는 민간기업으로 치부해 버릴 수도 없기 때문에 관심이 높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포스코를 책임질 최종 회장 후보를 선정하는 것도 아닌 후보군을 선정하는 과정에서조차 이렇듯 흔들리는 모습은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으면 하는 작은 바람을 가져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