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유통 시세가 폭락하면서 제강사의 11월 마감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주 후반 유통 최저가격인 즉시현금 시세는 54만 5,000원(고장력 10mm 도착 기준)까지 떨어졌다. 유통업체들은 최근 폭락 추세가 이번주에도 이어질 경우 64만 원 이하 거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시세가 폭락하면서 유통업체들의 이목은 자연스럽게 12월 초에 있을 제강사의 유통행 마감 가격에 쏠려 있다. 일부 제강사는 자유 낙하중인 유통 시세에 맞춰 마감을 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고, 또다른 제강사는 시세 폭락을 걱정하면서도 판매를 독려하는 모습도 포착되는 등 제강사마다 엇갈린 행보를 하고 있다.

11월 즉시현금 거래가격은 톤당 59만 원에서 시작해 지난주 후반 54만 5,000원까지 떨어졌다. 3주 사이에 4만 5,000원 가량 하락한 것이다. 지난주까지 평균 거래가격은 56만 8,000원이다. 유통의 제강사에 대한 결제 방식이 정기결제라는 점을 고려하면 57만 3,000원 전후에 제강사가 마감을 하면 유통업체들은 적자를 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요 제강사의 11월 판매 원가는 적게는 57만 원, 많게는 60만 원 수준이다. 중견 제강사의 경우 지난주까지 즉시현금 시세를 마감에 반영할 경우 유통도 제강사도 손익분기 수준은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원가 하락이 더딘 대형 제강사는 유통 시세에 맞춰 마감을 하게 되면 적자가 불가피하다.

문제는 여전히 폭락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유통업체들의 전망처럼 이번주 시세가 54만 원 이하로 추락하면 즉시현금 거래 평균 가격은 톤당 56만 원 수준으로 떨어진다. 원가경쟁력이 높은 중견 제강사조차 시세를 반영하면 적자로 전환 가능성이 생겨난다.

결국 11월 철근 폭락과 적자를 누가 책임질 것인가의 문제만 남게 될 가능성이 크다. 유통업체들도 제강사가 적자를 감수하면서 시세 보전을 해 줄 것인지 여부에 촉각을 세울 수 밖에 없게 됐다.

제강사들은 시세폭락이 유통 책임이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궁지에 몰린 제강사가말처럼 유통 가격 폭락에 강경 대응할지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제강사는 10월 이후 제강사별로 과거 원칙마감으로 유통이 적자가 난 부분에 대한 보전 작업을 진행 중이다.

제강사 입장에선 판매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유통업체를 달래지 않고선 판매난에 봉착할 것이라는 우려가 적자 보전 작업의 가장 큰 이유이다.

11월 적자를 누가 책임질 것인가? 유통과 제강사의 고민이 쌓이고 있다.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