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블룸버그의 보도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인플레이션 억제와 철강생산 감축을 함께 달성하기 위해 철강재 수출관세 부과를 고려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SCMP에 따르면, 잠정적으로 논의 중인 수출관세율은 10~25%이며, 부과대상에는 열연코일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최종 승인 절차가 남아있으나 3분기에는 수출관세 부과를 시행하려고 노력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철강공장. 사진제공: AFP, SCMP
▲ 중국의 철강공장. 사진제공: AFP, SCMP

중국 정부는 5월부터 냉연강판, 아연도강판, 합금강 열연, STS강 강관 등 146개 철강재에 대한 수출증치세 환급률 13%을 폐지했으며 선철, 페로크롬 등의 수출잠정관세율을 상향 조정했다.

일부 중국 철강 플레이어들은 5월에 다뤄지지 않은 철강재 위주로 관세가 새로 부과되거나 상향될 것으로 예상했다. SCMP는 중국 해관총서가 철강 수출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해 응답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다만 중국 수출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한 소식이 퍼지면서 27일 중국 열연코일 선물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1.4%, 철근은 1.3%, STS강은 2%, 철광석 선물 가격은 2.8%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플랏츠(Platts) 중국 62% Fe 철광석 수입가격도 톤(dmt)당 200.45달러로 200달러 가깝게 하락했다.

중국 정부, 철강 감산·내수시장 공급 안정화 위해 철강 수출관세 부과할 것

싱가포르 원자재 분석업체인 Navigate Commodities는 중국 정부가 철강생산 감축, 인플레이션 억제, 수출관세 부과 등을 통해 국내 판재류 생산업체 사이에 일종의 ‘도덕적 해이’가 존재한다는 메시지를 시장에 보내려 한다고 밝혔다.

또한 대부분 중국 판재류 수출업체가 20% 이상 수준인 관세에 대처할 수 있겠으나 일부 중소 업체의 경우 한계비용 상승에 따른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시진핑 주석은 작년 제75차 UN총회에서 ‘2030년 탄소피크, 2060년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목표를 제시했으며 공업및신식화부(MIIT)는 2월부터 ‘올해 중국 조강생산이 작년 수준을 하회해야 한다’는 강조해왔다.

이에 중국 정부는 올해 상반기 철강업 탄소배출 저감과 철강 생산활동 억제를 동시에 추진했다. 다만 제조·건설 등 주요 철강 전방산업이 회복세를 기록하고, 일시적 철강 생산 감소에 따른 공급부족 우려가 커지면서 철강 내수가격이 급등했고 메이커의 증산까지 부추기게 됐다.

5월 중순 들어 중국 정부가 일련의 철강 가격 안정화 조치를 시행함에 따라 중국 철강가격 급등세는 일시적으로 주춤했다. 다만 철강 비수기로 간주되는 여름철에도 중국 철강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했으며 선물시장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수출도 다시 증가했다. 수출증치세 13% 환급 취소 후 5월 중국 철강 수출은 33.9% 감소했으나 6월 수출은 전월 대비 23%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 철강 플레이어들은 중국 정부가 철강 생산 감축, 철강 및 원자재 가격 안정화를 위해 철강 내수 공급에 집중하는 대신 수출을 억제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철강 수출관세 부과 시 글로벌 수급 타이트 심화될 수 있어

SCMP는 중국 정부가 철강 수출관세를 부과한다면 판데믹 이후 경기 회복과 철강 강세를 기록 중인 글로벌 시장의 수급 타이트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유럽, 북미 등은 정부의 경기부양책 및 인프라 프로젝트 등으로 철강 가격이 사상 최고 수준에 이르렀으며 한 세대 만의 철강 랠리를 즐기고 있는 형국이다.

그럼에도 서구의 철강 메이커들은 수년 간 낮은 수준이었던 철강재 가격과 코로나19 로 늘어난 설비 폐쇄·가동중단 사태를 견디고 난 후 생산능력 확대에 열정적이지 않은 편이다.

여기에 러시아도 국내 원자재 인플레이션 국면을 진정시키기 위해 8월부터 철강 및 비철금속에 대해 일시적으로 수출관세를 부과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Navigate Commodities는 수출관세 부과 후에도 일부 중국업체들은 가격 인상을 감수한 채로 수출판매를 추진하겠으나 해외 구매자들은 합리적인 가격의 철강재 조달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Maike Futures 는 수출관세 부과로 플레이어의 수출 열정은 약화되겠으나 하반기 감산이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수출 물량이 내수로 전환되더라도 공급부족 가능성 관련 우려가 꾸준히 제기됨에 따라 철강 내수가격이 올해 동안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